예수교회 스베덴보리

3]예수교회와 새교회

한강건너검은돌 2025. 3. 30. 10:25
예수교회는 1933년
한국에서 한국인들이 외국 선교사 외국 교파 신학교 선교 기관의 지원과 지도 없이
한국인들의 힘으로 세운 교회입니다.
예수교회는 해방 전 평안남도-평양부 안주군 평원군 용강군 대동군 강서군 성천군/
함경남도-원산부 문천군 영흥군/ 황해도-해주군 벽성군 송화군 연백군-
강원도-이천군/경기도-  경성부에 약 30개소 예배당 기도소.
교인 수 성인 2700 여 명, 아동 1000 여 명이 되는 교세였습니다.
1940년 목사 6인 복음사 15인
그 시절 일본 식민지 치하에서 종교 활동은 조선 총독부의 허가를 받아야
교회 설립 집회가 가능하였습니다,
일본이 미국과 전쟁을 하는 기간-대박해 전쟁 동원 몇 년 간
교회가 몇 개 존속하였는지 통계가 없습니다(1941년 봄 예수지 폐간)
 
해방 후 남북 분단과 전쟁으로 북한 지역 교회를 상실하고..
38선 이남으로 온 소수 교역자와 교인들이 예수교회를 이어갔습니다. 
 해방 이전 예수교회 목사로 해방 이후 예수교회에 남은 분- 이호빈 목사 한준명 목사
 
예수교회 교인으로 신앙 생활을 하다 월남한 분들이 100 명 가량 된다고 합니다.
해방 정국-남북  분단-  전쟁을 겪으며 소수 교인들이 서울 연합교회 한강 예배당
명수대 예배당에 출석
북한에서 생사 불명 상태가 된 교역자-임학봉 목사 김태은 목사 유문환 목사
진하용 목사 박명대 목사 한의정 복음사 주선행 복음사 등 
다른 교파 교회로 간 분들은  해방 후 세대인 필자는 그들의 이름을 모르고
이유 사정도 알 수 없습니다  과거 일이지만 아쉽고 안타깝다는 생각이 듭니다..
 교역자 교인들도 생활인이기 때문에  離合集散이  일어납니다
 
정전 후 예수교회 중앙 선도원을  서울 영등포구 흑석1동 한강 예배당에  설치하였습니다.
한강 변 흑석동 도당재에 있던 구 일본 한강 신사 건물을 구입하여 예수교회 한강 예배당으로 모였는데
전쟁 중 그 건물이 파괴된 후 재건하지 못하고 이조근 집사 일본식 건물에서 모였습니다.
(글쓴이는 어린 아이 때 예수교회 중앙선도원,예수교회 한강 예배당 세로 쓰기 현판을 보고 큰 사람입니다
마당에서 자라는 나무와 꽃 우물 돌탑 그 집 구조도 다 생각납니다,)
 
그러나 중앙 선도원의 기능이 현저히 약해져서 
이조근 이정선 부자가 시도한 교회 개척 운동이 좌절되었습니다.
경비와  교역자가 없어 1950-70년대에 교회를 개척하려  노력하였으나 실패
 
 

중앙선도원 재소집..

선도감 이호빈 목사

총무국장- 이종현 장로

전도국장- 김희학 장로

교육국장-한준명 목사

경리국장- 이조근 집사

 

*이종현 장로..평양 기도단. 예수교회 창립 발기인 3인 중 한 분(이용도 목사 백남주 전도사 이종현 집사)

해방 전 예수교회 중앙 선도원 총무국장. 해방 후 조선 민주당 상임 중앙위원 월남하여

강원도 지사. 농림부 장관 국회의원 서울 연합교회 장로 50년대 말 별세

*김희학 장로..32년 가을 이용도 목사 부흥회에 은혜 받은 안주 장로교회 집사

33년 2월 당회의 반대를 무릅쓰고 이용도 목사 부흥회 강행하여 출교 당함

33년 4월 예수교회 안주 예배당 복음사 서울 연합교회 장로

필자는 한준명 목사 회갑 축하하고 주님께 감사하는 행사를 흑석동 예수교회에서 열었는데

초를 60개 꽂고 한 사람 씩 나와 불을 켜고 한준명 목사에게 축하의 인사를 하였는데

김희학 장로는 예수교회 창립 이야기를 하였습니다. 그 전까지 필자는 모르는 분이었습니다.

*한준명 목사- 32년 11월 초 예수교회 창립의 기폭제가 된 평양 기도단 집회 강사

예수교회 송천 예배당 복음사. 원산 신학산 교수

일본 관서학원 대학 신학과 유학 41년 예수교회 목사

1950년 12월 흥남 철수 작전 시 원산에서 피란선을 타고 월남(원산 시민 학살에서 생존)

51-53년 중앙신학교 부산 분교 교수 53-62년 부산 연희대학과 여자초급대학 교수

1963년 상경하여 중앙신학교 학감 및 교목

*이조근 집사..평양 기도단 특별 집회  한준명 전도사 강사, 이종현 집사 신행상회에서 시작

평양 산정현 장로교회   당회원들의 집회 중지 강요

장별리 이조근 집사 집에서 계속 장로교회에서 출교 당하고

1933년 1월 3일 예수교회 첫 예배 참석하고 평양에 돌아와 동지 이종현 집사와 함깨

예수교회 평양 예배당 창립 주도적 활동, 중앙선도원 경리국장 

 

소속 교회

1서울 연합교회[ 서울 종로구 장사동...손순조 목사

해방 전 교인...이종현 김희학 한신덕 한추지. 이호빈 목사 가족

2한강 예배당[서울 영등포구 흑석1동....이정선 목사

해방 전 교인...이조근 이유신(부부) 송봉애 김유순 안도선

3명수대 예배당[ 서울 영등포구 흑석3동..이원재 목사 조영현 복음사]

해방 전 교인....이기봉  이호빈 목사 가족
4. 전남 장성 예배당.....평양 예수교회 집사로 장성군에서 보육원 운영하며
복음 전파..神癒 사역으로 유명한 조순희 집사
5. 서울 회현동은 옛날 서류를 오래 전에 본 것이라 위치와  담임자 기억 못함
 
서울 연합교회는 예수교회 공의회의 산실...현재  동작구 사당 5동 에덴교회
[예수교회 공의회는 스베덴보리 노선 아닙니다 감리교회와 비슷하다고 보면 무난할 듯]
 
 흑석3동에 있던 명수대 예배당은 70년대 초 운영난을 이기지 못하고 문을 닫았습니다.
주님의 교회가 문을 닫고 교인들이 분산되는 현실에 가슴이 아팠습니다.
이원재 목사는 예수교회 해주 예배당 교인으로 畵家.  핍박을 받고
월남하여 신학을  하고 군목으로 복무. 이정선 목사와 동갑 친구로
새교회 신학원 敎務  광주 정인보 목사와 동역....宿患으로 고생하다 84년 별세
 
스베덴보리 신학 노선 예수교회는서울1 仁川1 光州1에 세 개 교회가 있습니다. 
 
*예수교회 창립 선언 예수교회 신전  생명가 <예수>지에 실린
글이 1933년 창립 예수교회의 믿음을 알려 줍니다, 
 
오늘날 예수교회의 신앙고백 <우리의 신앙>은 미국 새교회의 신앙 고백을
번역한 것으로 해방 전에 비하여
스베덴보리 신학 새교회와 가까워진 것이 사실입니다 
 
현재 예수교회 교세가 영세(零細)하여 교단이라고 하기 어렵고
미국의 새교회 제네럴 컨벤션과 행정 관계가 있지 않습니다, 
 
이정선 목사 미국 새교회 신학교 유학하고 1967년 <새교회 한국 연합회>를 조직하여
교단을 표방하였으나 교단으로 정착하지는 못하였습니다
 
서울 예수교회-이정선 목사 광주 새교회-정인보 목사
교역자 양성이 가장 시급한 현안,
67년 10월 한국 새교회 신학원 개강(원장 이정선 목사  교수 한준명 목사 정인보 목사
이정선 목사)
71년 신학원 제1기 졸업식, 이영근 씨. 이정선 목사 미국 이민 목회
로스앤젤레스 새교회 담임- 
 
1971년  용산구 갈월동으로 이전 72년 남영동으로 이전- 담임 이영근 목사 그 기간
교회 현판은 예수교회
갈월동 남영동 2년 월세
1973년 영등포구 화곡동으로 이전하여
단독주택을 구입하여 서울 새교회라는 현판-현재 제일 예배당과 다른 위치
전남 장성군 조순희 집사  상경하여 복음사)
 
청년회원들이 교회 건축 연보 전 교인으로 확대
신정 여상 위 용천사 용문사 아래 택지를 구입하여 구 한일 은행 철거 폐벽돌로
서울 강서구 화곡4동에 예배당을 신축하고 교회 이름을  예수교회로 환원
헌당식에  당시 강남 사회복지 학교 교장이자 공의회 의장 박영주 목사 공의회 인사 참석
사진을 보니 기공식 때도 참석(교인들은 서울 연합교회를  중심으로 예수교회 공의회를 한다더라
정도로 어렴풋이 알고 있었습니다)
예수교회로 환원한 것은 필자 뿐 아니라 전 교인의  總意였습니다.
담임 목사가 교인 총회의 의견을 따른 것입니다.
교회  이름은 옛날 전통을 지켜 전 세계 교회의 이름이자 한국의 교단 이름 예수교회에
개별 교회 이름을 제일 예배당으로 지었습니다.
 
예수교회 공의회에서 동참을 요청하여 1983년 예수교회공의회 회원 교회가 되어 1993년까지
 
[글쓴이의 소견]
 
만약 현 예수교회가 미국 새교회 총회에 가입한다면
예수교회라는 이름의 교회가 아니라 새교회 간판을 걸어야 할 것입니다.
[사례:교단의 행정 법이 있기 때문에.....
 
이재구 목사는 서울 예수교회 한강 예배당 고등학생 때 출석 성균관대학교 영문과 졸업
이정선 목사 추천으로 64년 미국 제네럴 컨벤션 신학교와 하버드 대학 대학원 졸업
미국 새교회 목사로 활동 미국 국적 취득 은퇴 목사
80년대 한국에 와서 설교  하루는  전교인 여름 캠프
옛날  한국에서 주일학교 교사 모광학회 회원이었다는 생각도 났으나(나의 추억)
설교를 들어 보니 미국 새교회 목사라는 느낌  한인계 미국인이라는 인상
 
이정선 목사가 강남 사회 복지학교 교장을 마치고 도미 동창 목사의 소개로
뉴욕 어느 교회 담임 6년 꾸준히 목회하여 예수교회 밀알 예배당
1990년 예수교회 세계  선교회 조직
김영민 목사는 노선은 스베덴보리 노선이지만 유형 조직체 행정 단위는 예수교회라
하였습니다. 이정선 목사 정년 퇴임 후 예수교회세계 선교회 활동 중지
김영민 목사는 미국 제네럴 컨벤션
신학교를 이수하고 뉴욕 한인 새교회 담임으로  목회 중입니다]
 
 새교회가 되면 1933년 한국 자생 한국인 자치 한국 토착 예수교회는 역사 속으로
사라질 것입니다. 그런 사태가 벌어진다면 우리 예수교회의 주체성 역사성
우리가 간직하고 지켜온 믿음의 자존심과 정체성도
무의미하게 될 것이 아닌지 심히 염려 됩니다.
2025. 3. 30 주일 오전